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JavaScript의 split() 메서드
    Front-end/Javascript 2023. 5. 15. 18:01
    반응형

    split() 메서드란?

    JavaScript에서 split() 메서드는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배열로 반환하는 메서드입니다. split() 메서드는 매우 유용하며, 문자열을 분석하고 처리하는 데에 많이 활용됩니다.

    split() 메서드의 구문

    str.split([separator[, limit]])
    

    split() 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를 가질 수 있습니다.

    • separator (선택 사항): 문자열을 분리할 기준이 되는 구분자입니다. 이 매개변수를 생략하면 기본값인 공백(space)이 사용됩니다. separator 매개변수는 문자열, 정규식 패턴 등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limit (선택 사항): 반환할 배열의 최대 길이입니다. 이 매개변수를 생략하면 모든 분리된 요소를 포함하는 배열이 반환됩니다.

    split() 메서드의 사용 예제

    아래는 split() 메서드의 간단한 사용 예제입니다.

    const str = 'JavaScript를 배우면 재미있어요!';
    const words = str.split(' ');
    console.log(words);
    // 출력: ['JavaScript를', '배우면', '재미있어요!']
    

    위 예제에서는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배열로 반환합니다. 반환된 배열은 words 변수에 저장되며, 콘솔에 출력되는 결과는 ['JavaScript를', '배우면', '재미있어요!']입니다.

    split() 메서드는 구분자를 정규식 패턴으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. 아래는 정규식 패턴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분리하는 예제입니다.

    const str = '2023-05-15';
    const date = str.split(/-/);
    console.log(date);
    // 출력: ['2023', '05', '15']
    

    위 예제에서는 문자열을 '-'로 구분하여 분리합니다. 반환된 배열은 date 변수에 저장되며, 콘솔에 출력되는 결과는 ['2023', '05', '15']입니다.

    split() 메서드의 반환 값

    split() 메서드는 분리된 문자열을 요소로 가지는 새로운 배열을 반환합니다. 반환된 배열의 길이는 분리된 요소의 개수와 동일합니다.

    split() 메서드의 반환 값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.

    • 원본 문자열은 변경되지 않습니다.
    • 공백으로 구분된 문자열을 분리할 경우, 반환된 배열의 요소는 각각의 단어가 됩니다.
    • 구분자로 지정한 문자열이 원본 문자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, 반환 값은 원본 문자열을 유일한 요소로 가지는 배열입니다.
    • 구분자로 지정한 문자열이 원본 문자열의 맨 앞이나 맨 뒤에 위치할 경우, 반환된 배열의 첫 번째 또는 마지막 요소는 빈 문자열('')입니다.
    • 분리된 요소가 limit 매개변수에 지정된 개수보다 적을 경우, 반환된 배열의 길이는 limit 매개변수에 지정된 개수와 같습니다.

    split() 메서드의 활용 예제

    split() 메서드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split() 메서드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분석하는 예제입니다.

    예제 1: 이메일 주소에서 사용자명과 도메인 분리하기

    const email = 'example@gmail.com';
    const [username, domain] = email.split('@');
    console.log('사용자명:', username);
    console.log('도메인:', domain);
    

    위 예제에서는 이메일 주소를 "@" 기준으로 분리하여 사용자명과 도메인을 구분합니다. 반환된 배열의 첫 번째 요소는 사용자명이 되고, 두 번째 요소는 도메인이 됩니다. 결과를 콘솔에 출력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사용자명: example
    도메인: gmail.com
    

    예제 2: 문장에서 단어 개수 세기

    const sentence = 'JavaScript는 웹 개발을 위한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';
    const words = sentence.split(' ');
    const wordCount = words.length;
    console.log('단어 개수:', wordCount);
    

    위 예제에서는 문장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단어의 개수를 세는 방법을 보여줍니다. 분리된 단어들은 배열로 저장되고, 배열의 길이를 통해 단어 개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결과를 콘솔에 출력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단어 개수: 7

    예제 3: URL에서 경로 추출하기

    const url = 'https://www.example.com/blog/posts';
    const path = url.split('/').slice(3).join('/');
    console.log('경로:', path);
    

    위 예제에서는 URL에서 경로를 추출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. split() 메서드를 사용하여 "/"를 기준으로 분리한 후, slice() 메서드를 사용하여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고, join() 메서드를 사용하여 다시 문자열로 결합합니다. 결과를 콘솔에 출력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경로: blog/posts
    

    마무리

    split() 메서드는 JavaScript에서 문자열을 분리하여 배열로 반환하는 강력한 기능입니다. 이를 활용하면 문자열을 처리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. 다양한 상황에서 split() 메서드를 유연하게 활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    더 자세한 내용은 MDN 문서를 참고해주세요.

    참고 자료

     

    String.prototype.split() - JavaScript | MDN

    split() 메서드는 String 객체를 지정한 구분자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문자열로 나눕니다.

    developer.mozilla.org

    이상으로 split() 메서드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마치겠습니다. 본 글이 여러분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